|
[개요]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으로 막혀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관상동맥 내부의 동맥경화성 변화는 사실상 20대 초반부터 진행되며 혈관 면적의 70% 이상이 좁아지면 협심증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서 발생하는데 반해 협심증은 어느 정도의 혈류는 유지되므로 심장근육의 산소요구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주로 증상이 나타납니다. 협심증은 진단뿐만 아니라 환자의 상태를 전문적인 방법으로 파악하여 이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임상양상] | |
협심증이 발생하면 가장 흔히 경험하게 되는 것이 가슴 통증 (흉통)입니다. 환자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대개 "가슴을 짓누르는 듯 하다", "뻐개지는 것 같다", "고추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다", "벌어지는 것 같다", "숨이 차다" 등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협심증의 흉통은 몇 가지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안정시에는 통증이 없다가 심장근육에 많은 산소가 필요한 상황, 즉 운동이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경우, 차가운 날씨에 노출될 때, 흥분한 경우 등에 증상이 주로 유발됩니다. 지속 시간은 심근경색증과 달리 대개 5-10분 미만이며 안정하면 없어집니다. 그러나 병이 심해지면 안정시에도 발생하고 시간도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심근경색증으로 진행할 확률이 높은 매우 위급한 상황이므로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협심증 중에서 가장 전형적인 증상으로 안정시에는 아무 증상이 없다가 일정량의 육체적 활동, 즉 빨리 걷거나 계단을 올라가는 경우에 흉통이 유발되었다가 안정을 취하면 곧 이어 통증이 소실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통증시간은 2분을 넘지 않습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좁아져 있는 혈관 때문에 상대적인 심근 빈혈에 의해서 야기되어 지기 때문입니다. 안정형 협심증의 경우는 환자의 이러한 특징적인 병력만으로 75% 이상 확실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운동시에는 물론이고 안정시에도 흉통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흉통의 빈도가 많아지고 기간이 길어지며,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으로도 흉통이 잘 없어지지 않습니다. 대개 안정형 협심증이었던 환자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도 최근 1개월 내에 진단된 협심증이나 아주 작은 운동에도 협심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도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봅니다. 이런 불안정형 협심증은 20~50%에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심장 근육이 죽게 되는 심근경색증으로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변이형 협심증의 경우 전형적인 협심 흉통이 안정시에만 나타나는데, 대부분의 통증은 밤, 또는 새벽녘 혹은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나타나며, 낮에는 일을 하거나 심한 운동을 해도 통증 유발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일련의 비전형적인 협심증 형태를 ‘변이형 협심증’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는 전형적인 협심증과 그 흉통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흔히 신경성이나 위장 관계 질환으로 오진되기 쉽습니다.
변이형 협심증은 대부분이 관상동맥의 심한 혈관 경련을 그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음주 및 흡연 경력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봅니다. 변이형 협심증도 관동맥 경련이 장시간 지속되면 심근경색증이나 악성 부정맥 등이 동반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병입니다. 하지만 약물치료에 반응이 좋아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로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갖는 병입니다. 이 질환은 특히 구미 지역에 비해서 한국, 일본에 흔한 협심 형태로 약물 투여 및 적극적인 치료를 요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새벽녘에 흉통이 빈발하는 경우는 반드시 심장 전문의를 찾아야 합니다. | |
[진단] | |
특징적인 가슴통증으로 의심되며 각종 심장 정밀검사로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가슴 통증이라고 모두가 협심증은 아니며 신경증, 위장질환, 근육통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슴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경험 많은 전문의사의 진찰이 매우 중요합니다. 협심증이 의심되면 확실한 진단을 위해 정밀한 심장검사법들이 동원됩니다. 심전도, 심장 초음파, 핵의학 영상 검사 등이 진단에 이용될 수 있으며 운동이나 약물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심장에 부하를 가한 후 이들 검사를 시행하여 더욱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도 합니다.
협심증 진단에 사용되는 검사법들은 적절한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검사 결과로 심각한 협심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많은 경우에 관상동맥조영술을 해서 관상동맥확장성형술이나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됩니다. 관상동맥조영술은 대퇴부 동맥이나 팔의 동맥을 이용하여 외부에서부터 관상동맥 입구부로 긴 관을 넣고 조영제라는 약물을 주입하여 관상동맥의 내부를 촬영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20여년 전부터 협심증을 진단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CT나 MRI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시술을 하지 않고 진단하는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나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 |
[주의사항] | |
|
[서울아산병원]
'건 강 정 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몸의 중금속 배출법 (0) | 2007.10.06 |
---|---|
뇌졸중 예방을 위한 지침 (0) | 2007.10.05 |
승모판 협착증 (0) | 2007.10.02 |
심장근육병증[심근병증] (0) | 2007.10.01 |
아플땐 이곳을 눌러주세요 (0) | 2007.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