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부상자를 재빨리 안전한 장소로 옮긴다. |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부상자의구조.중상인 경우에는 환자의 안정에 유의한다. |
|
|
|
|
|
 |
전화 119번을 돌려 구급차를 요청한다. |
부상자의 수, 사고 발생 장소 등을 정확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
|
|
|
|
|
 |
후속 차량에 사고의 발생을 알린다. |
부상자의 구조와 동시에 후속 차량이나 맞은 편에서 오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사고 발생 지점에서 50m 이상 떨어진 후방에 빨간 깃발, 빨간 램프, 발연통, 삼각표지판 등을 설치하거나 수신호를 하여, 또 다른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
|
|
|
|
 |
사고 지역 관할 경찰서 또는 지, 파출소에 사고의 발생을 신고한다. |
경찰에 사고 당사자의 성명과 사고 발생 장소, 사상자 수와 부상 정도, 손괴한 물건 및 손괴정도, 그 밖의 조치상황 등을 정확히 신고해야 한다. |
|
|
|
|
|
 |
교통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위치로 사고 차량을 이동시킨다. |
교통량이 많은 곳에서는 잇따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교통에 장애가 되지 않는 위치로 사고 차량을 옮긴다. 이 경우 사고 현장을 보존할 수 있도록 사고 차량이 있던 위치를 표시해 놓는다. 이동 장소가 노상일 경우에는 자동차의 비상등을 켠다. |
|
|
|
|
|
 |
사고 당사자는 서로 상대를 확인하고, 현장에서 기록한다. |
사고 당사자끼리 면허증이나 신분 증명서를 서로 보이거나 해서 상대를 확인하도록 한다. 카메라가 있으면 사고 현장과 차 넘버를 찍어 놓는다. |
|
|
|
|
|
 |
자동차 보험의 계약 회사에 사고 사실을 알린다. |
임의 보험에 가입하고 있으면 계약회사에 사고 사실을 보고한다. 당사자 이름, 가입 차량의 넘버, 사고 발생의 연월일과 시각, 손해 정도를 정확하게 알린다. 상대방의 것도 같은 요령으로 보고한다. |
|
|
|
|
|
 |
사고처리 경찰관의 신분을 확인한다. |
사고를 처리한 경찰관의 성명, 소속을 물어 메모해 놓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