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별 차량관리] 겨울 차량관리 | ||||||||||||||
겨울철에는 자동차를 운전하기 어렵지만 관리하기도 또한 쉽지 않다. 날씨가 추워지면 차에 예기치 않았던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대문에 평소에는 차에 별 관심을 두지 않았던 운전자들도 겨울에는 많은 신경을 쓰게 된다. 겨울철에 자동차를 잘 관리하면 차의 수명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뜻하지 않은 사고로 낭패를 보는 일도 방지할 수 있다. 기온에 민감해지는 겨울에 차량을 얼마나 잘 관리 하느냐에 따라 자동차의 수명 연장은 물론, 예기치 않았던 비용까지 절약할 수 있다.
![]() 부동액은 냉각수를 얼지 않게 하고 라디에이터 및 관련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며, 데워진 냉각수가 실내에 훈훈한 공기를 보내는 난방 역할을 한다.
![]() 부동액 주입 후 엔진이 정상 온도가 될 때까지 웜업을한 후 출발해야 한다. 부동액은 보통 모노에틸렌글리콜 94%에 약 6%의 부식방지 첨가제가 혼합된 것이다. 이 부동액을 자동차에 사용할 때는 보통 부동액 40∼50%를 물 50∼60% 와 섞어 사용하며 추운 지역일수록 부동액 농도를 높여야한다. 참고로 보통 부동액이 50%인 경우는 영하 35도에서도 얼지 않는다.(아래 표 참조) 주위온도(℃) | 냉각수 농도 (℃) | 부동액 | 물 -------------------------------------- -15 | 35% | 65% -25 | 40% | 60% -35 | 50% | 50% -45 | 60% | 40% 요즘 출시되는 부동액은 동결방지 기능은 기본이고 부동액이 흐르는 부위의 금속과 고무 플라스틱등 순환기 계통을 보호할 수 있는 방식기능까지 갖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라디에이터가 주철에서 알루미늄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에 부식성능이 뛰어난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도 기억해 두자.
배터리는 겨울철 전조등, 히터 및 열선유리 등의 사용시간이 길어져 배터리의 전기 사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재충전이 잘 되는지의 여부를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 따라서 겨울철에는 엔진오일의 점도와 맑기를 자주 점검해야 하고 엔진을 충분히 워밍업해서 오일이 각 기계사이를 잘 순환하도록 한 다음 운행해야 한다.
![]() ② 와이퍼 암 점검. ③ 와이퍼 액의 분사방향 점검. ④ 블레이드를 교환할 때 와이퍼 암이 앞면 유리를 깨지 않도록 주의한다.
![]() 겨울철에는 눈의 동결방지를 위해 염화칼슘 등을 길에 뿌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겨울철 세차는 고압 증기식 자동 세차를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세차 후 에는 반드시 물기를 제거하고 실내도 더운 공기로 완전히 말려 놓아야 열쇠구멍이나 창틀고무가 얼어붙는 등의 위험을 막을 수 있다. |
'생 활 지 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관리] 에어컨 관리요령 및 주의사항 (0) | 2010.11.23 |
---|---|
[차량관리]경제적 안전운전 요령 (0) | 2010.11.23 |
[계절별 차량관리] 가을 차량관리 (0) | 2010.11.23 |
[계절별 차량관리] 여름 차량관리 (0) | 2010.11.23 |
[계절별 차량관리] 봄 차량관리 (0) | 2010.11.23 |